비닐하우스와 축사, 과수원 등 농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원격·자동으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형성하는 ‘스마트 팜’이 현대 사회가 직면한 식량난을 해결할 차세대 농장으로 기대 받고 있다.

국제연합(UN)의 분석에 따르면, 현재 72억 세계 인구가 2050년에는 100억을 넘어서고 늘어나는 인구 절반은 개발도상국에서 나온다. 국내도 마찬가지로 농촌 고령화가 가속하고 농업인 당 경지면적은 약 6000㎡로, 대부분 소규모 자작농이라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늘어나는 인구에 비례해 식량 소비도 증가할 텐데 이를 감당할 방법이 없고 음식 쓰레기 처리도 문제다.

이에 사물인터넷(IoT)과 로봇·드론·빅데이터·나노 바이오·3D 프린팅 등 신기술을 동원해 곡물의 영양가와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스마트 팜이 방안으로 각국에서 개발에 서두르고 있다.

세계는 지금 스마트 팜 열풍

미국은 구글과 IBM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스마트 팜 시장을 이끌고 있다. 이들은 땅의 성질·수분·작물건강 등을 분석한 데이터 기반으로 종자와 비료·농약 등을 인공지능(AI) 시스템에 맡긴다. 실리콘밸리 스타트업들도 클라우드 기반 농업·농장관리 소프트웨어 개발과 농업 서비스 회사에 투자하고 있다. 대표적인 농업 스마트 서비스 제공 기업으로는 존디어의 ‘시드스타 모바일’과 듀퐁 파이오니어 ‘파이오니어 필드360 셀렉트’등이 있다.

유럽의 농업 선진국 네덜란드는 첨단 기술과 농업을 밀접하게 연관시켜 글로벌 스마트 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유리 온실에 ICT 기술에 의해 온습도와 일사량, 이산화탄소 등을 조절하며 에너지 관리, 재해방지기술을 결합해 복합 환경 제어기술도 적용했다. 최근에는 건물 옥상에 온실을 설치해 물고기 양식을 하면서 물고기가 뱉은 질소 노폐물을 식물 재배에 이용하며 식물이 내는 산소를 물고기 수조에 공급하는 시스템 등 ‘에너지 절약형 도심 농장’을 적극 기획하고 있다.

고령화가 최대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일본도 2012년부터 생체 정보를 이용한 생육진단 기술을 적극 활용하며 스마트 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정보수집 로봇이 LED 판넬을 통해 광합성 기능을 측정하며 디지털 카메라가 잎 면적·손상된 꽃을 진단한다. 각종 센서로 수집된 정보를 모아 과실 위치 측정 알고리즘을 개발해 최적화된 수확 시스템을 구축한다. 더불어 해외 식물공장 활용하고 일본 내 ICT 적용 작물 판매하며 농업 컨설팅 집·출하 업무 시스템에 중점을 두고 있다. 현재 4500억 엔인 농산물 수출액이 2020년 1조엔 규모로 늘어날 전망이다.

韓 정부 스마트 팜 활성화 검토한다

스마트 팜 발전 단계를 총 3단계로 나누면 국내는 1.5단계로 분류된다. 각종 센서를 통해 환경 변화를 감지하고 제어할 수 있는 단계로 전문가들은 일본이 2단계로 진입했고, 네덜란드는 농장 자욜화 단계인 3단계에 위치했다고 평가한다.

국내 정부는 ‘ICT 융복합 확산-스마트팜 시설보급 지원’ 사업을 바탕으로 스마트팜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 최근 농림축산부는 스마트팜 시설보급사업 신청 농가를 대상으로 추진했던 맞춤형 장비도입 컨설팅을 희망하는 농가 누구나 받을 수 있도록 대상자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다. 스마트팜 도입에 관심 있는 농가는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 컨설팅을 신청 시 농가상황에 따라 도입이 가능한 시설과 장비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됐다. 더불어 2022년까지 농업인, 식품기업, 스마트팜 기업 간 시너지 창출을 위해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전국 4개소를 운영할 계획도 세웠다.

업계 전문가들은 “네덜란드 등 선진국의 농업 빅데이터 기술을 따라잡으려면 지금부터라도 생산·유통·소비 데이터 축적에 투자해야 한다”며 “또한 로봇·드론·애플리케이션에 연계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